들숨날숨에 대한 알아차림 > 맑은도서


도서 출판出版

낮은 곳에서 참소리를 담아내는 맑은소리맑은나라 입니다.
맑은도서


맑은도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맑은소리맑은나라 작성일25-01-15 10:48 댓글0건

본문

들숨날숨에 대한 알아차림

편역 담마다야다 빅쿠

이 책은 경전(니까야), 청정도론, 파욱사야도 영문 저서 Knowing and Seeing(앎과 봄), Mahāsatipaṭṭhāna Sutta(마하사띠빳타나 숫따, 알아차림 확립 큰 경, 대념처경)를 기반으로, 사마타와 들숨날숨에 대한 알아차림 수행과 관련된 내용을 발췌, 번역하였습니다. 그리고 필자가 파욱 사야도, 우 꼬다 반떼, 우 레와따 반떼 등 파욱 스승들을 모시고 통역을 하면서 얻은 경험들을 추가하여 엮었습니다. 또 우 레와따 반떼의 Instructions on Ānāpānasati Meditation for beginners(초심자들을 위한 들숨날숨에 대한 알아차림 가르침)를 모두 번역하여 순서를 약간 달리하여 실었습니다.

사마타(samatha, 고요, 삼매)와 위빳사나(vipassanā, 통찰) 수행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곳에 위빳사나에 대한 내용도 추가했습니다. 특히 8장은 많은 수행자들이 자주 하는 질문인 일상생활에서 사마타와 위빳사나를 어떻게 수행하는가에 대한 대답으로 주석서, 복주석서의 설명을 싣다보니 위빳사나수행에 대한 내용이 많아졌습니다.

사마타와 위빳사나수행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는데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실었습니다.

책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들숨날숨에 대한 알아차림 수행을 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들숨날숨이라는 대상에 올바로 알아차림 하기 위해서는 다섯 장애의 극복, 다섯 기능의 조절, 일곱 깨달음 요소의 균형 등 여러 조건이 갖춰져야 합니다. 그래서 다섯 장애를 극복하는 방법, 다섯 기능을 조절하는 방법, 일곱 깨달음 요소를 균형 잡는 방법에 대하여 가급적 상세히 논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책을 활용하는 한 가지 예를 들면 오장애 중에서 악의를 극복하는 방법이 자애 선정을 닦는 것입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집중력이 없이 자애 선정을 바로 증득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자애관을 할 수 없다는 뜻은 아닙니다. 자애 선정까지는 닦을 수 없다고 하더라도 자신, 소중한 사람, 무관한 사람, 싫어하는 사람 순으로 자신이 선호하는 구절을 사용하여 자애를 보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선한 사람이 안녕하고 행복하기를이라고 자애를 보내면서 자애관을 하면 악의가 사라질 수 있는 것입니다. 또 감각적 욕망을 극복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가 부정관을 하는 것입니다. 부정관은 살아있는 생명체에 대한 몸 32부분과 시체에 대한 부정관이 있습니다. 두 가지 중에서 하나를 대상으로 삼아서 부정관을 하면 선정까지 닦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감각적 욕망을 물리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해태와 혼침이 오거나 수행에 흥미가 떨어지고 지루해질 때는 붓다를 거듭 숙고함이나 죽음관을 수행을 하면 근접 삼매까지 닦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믿음과 긴박감을 계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해태와 혼침에서 벗어나고 수행에 대한 동력을 일으켜서 정진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른 것들도 같은 식으로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2판을 수정, 보완하고 내용을 가감하여 다시 출판하였습니다. 불자 여러분들의 들숨날숨에 대한 알아차림 수행에 도움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는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특히 법에 대한 의문점이 있을 때마다 분명하게 해주신 이 빅쿠의 스승이신 파욱사야도(Bhaddanta Āciṇṇa), 우 꾸마라비왐사(u Kumārabhivaṃsa) 반떼, 우 꼬위다(uKovida) 반떼, 우레와따(uRevata) 반떼께 경배드립니다.

 

목차 및 본문

목차

편역자 서문 5

목차 8

1장 수행이란 무엇인가? 13

1. 왜 수행을 하는가? 14
2. 보디삿따의 출가 동기 18
3. 어떻게 수행하는가? 24

2장 들숨날숨에 대한 알아차림 계발하기- 1 41

1. 왜 들숨날숨에 대한 알아차림 수행인가? 42
2. 들숨날숨에 대한 알아차림 열여섯 토대 45
1) 첫 번째 네 개조 46
2) 두 번째 네 개조 49
3) 세 번째 네 개조 51
4) 네 번째 네 개조 53
3. 「대념처경」에 나타난 들숨날숨에 대한 알아차림 56
4. 『청정도론』에 나타난 들숨날숨에 대한 알아차림 설명 58
1) 신체 장애자 비유 59
2) 문지기 비유 59
3) 톱 비유 60
4) 숨이 미세해졌을 때 대처하는 방법 60
5) 들숨날숨에 대한 알아차림 첫 4단계 63

3장 들숨날숨에 대한 알아차림 계발하기- 2 69

1. 들숨날숨에 알아차림 하기 위한 준비 70
1) 앉는 자세 70
2) 마음 준비 71
3) 마음을 가라앉히기 위한 자애 발산하기 71
2. 들숨날숨에 알아차림 하는 방법 73
1) 감촉이 아닌 숨에 집중하기 73
2) 과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기 75
3) 욕망 없이, 기대 없이, 애착 없이 77
4) 수행은 행복을 위한 것 77
5) 자연스러운 숨에 집중하고 숨을 조절하지 않기 78
6) 한 점에서만 숨에 집중하기 78
7) 집중하는 방법: 지각에서 마음으로 78
8) 숨을 느끼는 곳에서 집중하기 80
3. 통증, 망상 등이 일어났을 때 80
1) 마음이 떠돌 때 80
2) 인내 빠라미 연마 81
3) 초기 통증을 무시하기 82
4. 빛에 대한 대처 방법 및 더 나은 집중을 위하여 83
1) 네 가지 모든 자세에서 알아차림 83
2) 일념 계발 83
3) 빛이 나타났을 때 84
4) 빛이 불안정하면 숨에 계속하여 집중하기 89
5) 숨과 빛의 합일 90
6) 니밋따에 집중 90
7) 기운이 아닌 니밋따에 집중하기 91
8) 노력이 견실하게 발전하도록 허용하기 91
5. 표상 보호 91

4장 선정 달성하기 95

1. 선정 요소와 자유자재 96
2. 이선정에서 사선정까지 계발 방법 98

5장 다섯 장애 극복하기 105

1. 감각적 욕망과 그 극복 방법 107
2. 악의와 그 극복 방법 120
3. 해태, 혼침과 그 극복 방법 134
4. 들뜸, 후회와 그 극복 방법 143
5. 의심과 그 극복 방법 147

6장 다섯 기능 조절하기 151

1. 다섯 기능의 속성 152
1) 믿음 기능(saddhā indriya, 삿다 인드리야) 153
2) 정진 기능(viriya indriya, 위리야 인드리야) 153
3) 사띠(알아차림, 유념) 기능(sati indriya, 사띠 인드리야) 154
4) 삼매 기능(samādhi indriya, 사마디 인드리야) 154
5) 지혜 기능(paññā indriya, 빤냐 인드리야) 154
2. 들숨날숨을 대상으로 다섯 기능 간의 균형 잡기 155

7장 일곱 깨달음 요소 균형 잡는 방법 161

1. 사띠(알아차림, 유념) 깨달음 요소 162
2. 법 변별 깨달음 요소 164
3. 정진 깨달음 요소 168
4. 희열 깨달음 요소 171
5. 경안 깨달음 요소 178
6. 삼매 깨달음 요소 180
7. 평정 깨달음 요소 183
8. 들숨날숨을 대상으로 일곱 깨달음 요소 균형 잡기 187

8장 행동 양식과 분명한 앎 189

1. 머리말 190
2. 행동 양식에 대한 주석 191
1) 걷는 행위에 대한 세 가지 질문 192
2) 아난다 존자의 수행 200

3. 분명한 앎에 대한 주석 203
1) ‘앞으로 나아갈 때도, 돌아올 때도’ 분명히 앎 204
2) ‘앞을 볼 때도, 옆을 볼 때도’ 분명히 앎 209
3) ‘사지를 구부릴 때도, 펼 때도’ 분명히 앎 210
4) ‘대가사, 가사 등을 입을 때도’ 분명히 앎 211
5) ‘먹을 때, 마실 때, 씹을 때, 맛볼 때도’ 분명히 앎 212
6) ‘대소변을 볼 때도’ 분명히 앎 213

9장 자주 하는 질문과 대답 215

부록 1 경전에서 말씀하신 삼매의 중요성 225
부록 2 용어 설명 231
부록 3 마음, 마음부수, 12토대, 18요소 251

출전 도서 목록 약어 265
출처 찾아보기 266
참고 도서 267
법보시 공덕 269

부록 4 [도표] 괴로움의 소멸, 닙바나로 이끄는 팔정도 273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부산광역시 수영구 좌수영로 125번길 14-3 올리브센터 2층 Tel. 051-255-0263, 051-244-0263 Fax. 051-255-0953 E-mail. puremind-ms@hanmail.net
COPYRIGHT ⓒ 맑은소리맑은나라. ALL RIGHTS RESERVED.